구성원

전임

김지훈
  • 연구실

    305관 614호

  • 전화번호

    02-820-5471

  • 이메일

    flaneur7@cau.ac.kr

  • 홈페이지

    http://www.caufilm.com

연구분야
  • 영화이론, 미디어이론, 디지털 시네마
연구실소개
  • 영화연구, 미디어연구, 현대예술비평을 교차하는 방법론들을 통해 포스트-시네마 시대의 영화 및 시각예술과 문화의 미학과 존재론을 설명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.
학력사항
  • Department of Cinema Studies, New York University(2011)
  •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영화이론전공(2004)
  •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(1998)
주요경력
  • 2013.09 – 현재: 교수,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
  • 2011 – 2013: 난양기술대학 위킴위커뮤니케이션정보학교 조교수
주요활동
  • ‘시각매체비교연구', '디지털미디어연구', '실험영화와 비디오아트', '영화이론의 이해' 등의 과목을 가르치며 다양한 학술적 행사에 참여 중이다.
  • 2021년 4월부터 12월까지 Columbia University Film and Media Studies Program에 Fulbright Visiting Scholar로 있었다.
대표논문

실험영화 및 비디오, 갤러리 영상 설치작품, 디지털 예술, 실험적 다큐멘터리, 현대영화이론 및 매체미학 등에 대한 논문들은 Screen, Film Quarterly, Millennium Film Journal, Animation: An Interdisciplinary Journal, Asian Cinema 등의 저널들 및 Global Art Cinema (Oxford University Press, 2010), Taking Place: Location and the Moving Image (University of Minnesota Press, 2011)등의 논문집에 출간되었다. 

대표논문
  • 『질 들뢰즈의 시간 기계』 (D. N. 로도윅, 그린비, 2005), 『신체 없는 기관: 들뢰즈의 결과들』 (슬라보예 지젝, 공역, 2007)을 번역했으며,
  • 첫 번째 저작 『필름과 비디오, 디지털 사이: 포스트-미디어 시대의 하이브리드 무빙 이미지들 (Between Film, Video, and the Digtial: Hybrid Moving Images in the Post-media Age)』은 International Texts in Critical Media Aesthetics 시리즈로 Bloomsbury Academic에서 2016년 출간되었다.
  • 두 번째 저작 『다큐멘터리의 확장영역: 뉴 미디어와 21세기 다큐멘터리(Documentary's Expanded Fields: New Media, New Platforms, and the Twenty-First-Century Documentary)』은 국내 대학 내국인 교수 중 최초로 옥스퍼드대 출판부(Oxford University Press)에서 출간했다.
  • 현재 『Post-verité' Turns: Korean Documentary Cinema in the 21st Century』를 작업 중이다.
기타
  • 주요 논문 및 기고문, 강의계획서는 chungang.academia.edu/JKIM 참고.